반응형
이재명 대통령의 국민소통 플랫폼, 정책 참여의 새 장을 열다
‘이재명 대통령에게 바란다’(가칭)로 개설된 국민소통 플랫폼에 대한 소개
국민소통 플랫폼이란?
이재명 정부의 국정기획위원회는 국민의 정책 아이디어를 직접 수렴하고 이를 국정 과제에 반영하기 위한 온라인 소통 창구인 국민소통 플랫폼을 개통했습니다. 누구나 간편 인증만 거치면 정책을 제안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은 AI 분석과 부처 협의를 거쳐 정책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플랫폼 주요 기능
- 의견 등록: 국민 누구나 인증 후 자유롭게 정책 제안 가능
- 공론화: 전문가·공무원·국민이 참여하는 온오프라인 토론
- AI 분석: 접수된 의견은 AI가 자동 분류·정리
- 부처 검토: 관련 부처가 검토 후 국정 과제 반영
- 명칭 공모: 공식 명칭 공모와 국민 투표 진행
참여 절차
- 네이버, 다음에서 국민소통플랫폼 검색
- 또는 정부24, 국민신문고, 중앙부처·지자체 팝업을 통해 접속
- 간편 인증(휴대폰·공동 인증서 등) 후 로그인
- 자유롭게 정책 의견 등록
- 공감이 높은 제안은 토론·정책화 진행
- 국민 누구나 로그인 후 주요 정책 아이디어 제안 가능.
- 우편 및 방문 접수도 병행됩니다
플랫폼 개요
항목 | 내용 |
---|---|
개통일 | 2025년 6월 18일 |
의견 접수 마감 | 2025년 7월 23일 |
참여 대상 | 국민 누구나 |
접속 경로 | 포털 검색 또는 정부24, 국민신문고 팝업 |
명칭 공모 | 6월 18일 ~ 6월 20일 |
국민소통 플랫폼의 의미
이번 플랫폼 출시는 국민의 참여를 기반으로 한 국정 운영을 실현하겠다는 의지가 담긴 실천적 움직임입니다. 단순한 여론 수렴을 넘어서 정책 직접 반영과 공론화 과정까지 이뤄지는 구조로, 진정한 민주주의적 행정 모델을 구현하려는 시도로 평가됩니다.
국민의 의견이 국정의 중심에 서는 시대, 당신의 아이디어가 곧 국가정책이 됩니다.
시사점
- 국민 주권 기반 소통 강화
직접 참여→토론→정책 반영 구조로, 국민이 단순 의견 수렴을 넘어 프로슈머(정책 소비자 겸 생산자)의 역할까지 확장됨 - 투명성과 신뢰 제고
인공지능 통해 체계적으로 의견 분류, 공감도 높은 의견에 토론공론화 단계 도입 → 정책의 질 개선과 사회적 합의 도출 가능성 증가 - 실질 참여 기반 마련
온라인 + 오프라인 연계, 다양한 국민·전문가·공무원 참여 방식으로, 단순 제출이 아닌 참여와 협업 중심 구조 추구 .
플랫폼 비교
플랫폼 | 운영 기관 | 주요 기능 |
소통24 | 국민권익위원회 | 민원·제안 접수 및 처리 알림 |
국민생각함 | 권익위원회 | 토론·설문·투표 중심 정책 설계 참여 |
광화문1번가 | 행자부 등 | 정책 제안 및 의견 수렴(공론장) |
이재명 국정기획위 플랫폼 | 국정기획위원회 | AI분류 → 공론화 → 국정과제 반영 절차 중심 |
반응형
'21대 정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G7 정상회의에서 펼쳐진 이재명 대통령의 실용 외교: 유엔, 브라질, 멕시코, 인도와의 정상회담 정리 (0) | 2025.06.18 |
---|---|
경제 살리기: 행정안전부의 비상지역경제 상황실 출범 (0) | 2025.06.18 |
이재명 대통령 전용기 간담회 주요 발언 요약 (2025년 G7 출국길) (3) | 2025.06.17 |
청와대(대통령실) 출입 기자단 원상복귀 (2) | 2025.06.17 |
2025년 하반기 물가 안정 대책 총정리 (2) | 202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