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1대 정부

조은석 내란 특검 기소의견서

by 하루풍덩 2025. 6. 21.
반응형

조은석 특검 vs 김용현 전 장관, 추가기소 절차 논란 정리


조은석 특검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추가기소한 사건에서 절차적 타당성과 위법성 논란이 벌어졌습니다.

 

사건 개요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특검)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공무집행방해 및 증거인멸교사 혐의로 추가 기소했습니다. 이에 김 전 장관은 이의신청 및 집행정지 신청을 서울고등법원에 제출했고, 특검 측은 이를 각하·기각해달라는 의견서를 6월 21일 0시 30분경 법원에 제출했습니다.

 

 

특검 측 주요 주장

쟁점 내용
절차 위반 김 전 장관 측이 특검을 거치지 않고 직접 법원에 신청함
기소 시기 문제 수사 준비기간 종료 후 기소했으므로 법적 문제 없음
법률 근거 이의신청 및 집행정지는 합리적 사유 부족, 각하 또는 기각 요청


타임라인 정리

  • 6월 18일: 특검, 김 전 장관 추가 기소 및 보석 취소·구속영장 요청
  • 6월 20일: 김 전 장관 측, 이의신청 및 집행정지 신청
  • 6월 21일 0시 30분: 특검, 서울고법에 의견서 제출 (각하·기각 요청)
  • 6월 23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 예정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4부)

 

요약

  • 김 전 장관 측: 내란특검법상 수사 준비기간 중 기소 불가직접 법원 신청은 위법
  • 특검 측: 수사 개시 후 기소는 적법하며, 이의신청은 절차적으로 부당

 

전망

서울고법은 이의신청 및 집행정지 접수 후 48시간 이내 결정을 내려야 하며, 6월 23일 예정된 구속영장 심사에서 법원이 기소의 타당성과 추가 구속 필요성을 종합 판단할 예정입니다.

 

 

내란 특검 의견서 요약 정리

  1. 절차 위반: 법원 직접 신청은 무효 → 각하해야 함
  2. 기소 시점 적법: 수사 개시 후 기소, 법 위반 아님
  3. 추가 혐의: 기존 내란·직권남용 외 별도 혐의(공무방해·증거인멸교사) 성립 가능
  4. 요청사항: 보석 취소 및 구속영장 발부 요청
  5. 6월 24일 증거인멸 우려 의견서 제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