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의 자본시장 개혁: 부정거래, 공매도, AI감시까지 전면 개편
이재명 대통령 주재 자본시장 간담회에서 논의된 부정거래 대응, 공매도 개선, AI 감시 시스템 도입 등 자본시장 전면 개혁 내용 정리
이재명 대통령의 자본시장 개혁 의지
이재명 대통령은 자본시장에서 벌어지는 상습적이고 지능화된 부정거래를 뿌리 뽑겠다는 강한 개혁 의지를 밝혔다. 불법을 저질러 돈을 벌 수 있다는 인식을 깨고, 반대로 불법을 저지르면 막대한 처벌과 폐가망신에 이르게 하겠다는 것이다.
- 불법으로 얻은 이익은 몇 배로 환수
- 사후 처벌은 물론 사전 차단 시스템 강화
- 불공정 거래 원천 차단을 위한 AI·인력 확충
부정거래 최신 수법의 진화
과거 단순 주가 조작에서 최근엔 훨씬 복잡하고 교묘한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기존 수법 | 최신 수법 |
---|---|
허위·과장 정보로 주가 부양 후 매도 | 무자본 M&A로 기업 자산 빼먹기 |
가짜 뉴스 활용 | 횡령·배임으로 기업 부실화 유도 |
단순 통정매매 | 다단계 대포계좌 통한 추적 회피 |
이런 수법은 기업 자체를 파괴하며 자본시장 전체 신뢰를 무너뜨리고 있습니다.
사전·사후 대응 방안
단계 | 대응 방안 |
---|---|
사전 예방 | 의심 거래 종목 실시간 거래정지 및 계좌 동결 |
중간 통제 | 거래소의 개인 단위 감시 및 거래 패턴 집중 감시 |
사후 처벌 | 불법 이득 수배 환수, 과징금, 징역형, 영업정지 |
AI 기반 감시 시스템 도입 필요성
기존에는 인력 중심의 감시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불공정 거래가 지나치게 복잡·대형화되면서 AI 기술이 반드시 도입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 거래 패턴 분석 자동화
- 이상 거래 자동 감지
- 다단계 계좌 연결 추적
- 최종 판단은 인간 심사관이 수행
이를 통해 감시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적발 확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봄.
내부자 거래 규제 현실화
내부자 거래의 규제 사각지대도 지적되었다. 현재 자본시장법 시행령상 공시 시점 기준이 전통 매체에만 한정되어 인터넷·SNS 매체는 포함되지 않는다.
- 현실 반영 → 유튜브, SNS, 온라인뉴스 포함
- 정보공개 시점의 기준 확대 필요
- 관련 시행령 개정 대통령이 즉시 지시
공매도 불법 행위에 대한 엄중 처벌
공매도 문제 역시 개인 투자자 불만이 집중된 영역이다. 고의적 불법 공매도는 다음과 같은 강력한 처벌로 대응할 방침.
불법 유형 | 처벌 방안 |
---|---|
무차입 공매도 | 영업정지, 반복시 퇴출 |
고의적 규정 위반 | 형사처벌, 기관 운영 금지 |
기관차별 특혜 | 담보·규모 특혜 불허 |
"불법으로 돈을 벌면 더 큰 대가를 치르게 한다"는 것이 대통령의 일관된 방침이다.
불법으로 돈 버는 시장 종식 선언
이재명 대통령은 대한민국 자본시장에 다음과 같은 원칙을 선언했다
- 불법하면 돈을 못 번다.
- 불법으로 돈을 벌면 수 배의 대가를 치른다.
- 주가조작·부정거래·불법 공매도는 폐가망신의 지름길이다.
이를 위해 법령 개정, 감시시스템 AI 고도화, 징벌적 처벌 등 전방위 대책이 빠르게 추진될 전망이다.
#이재명정부 #자본시장개혁 #주가조작근절 #공매도개혁 #AI시장감시 #불공정거래근절 #금융개혁 #대통령발언정리
'21대 정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6월 12일 '3대 특검' 후보 추천 정리 (2) | 2025.06.12 |
---|---|
2025년 6월 12일 이재명 대통령 (1) | 2025.06.12 |
박은정 의원의 '검찰 징계법안' 입장 (0) | 2025.06.11 |
2025년 6월 11일 이재명 대통령 대북확성기 중단 조치 (0) | 2025.06.11 |
이재명 정부 6월 11일 (3) | 2025.06.11 |